우리는 모두 단 한 번의 삶을 살아갑니다.
그 단 한 번의 삶 속에서 나를 붙잡아준 7개의 문장.
김영하 작가의 『단 한 번의 삶』에서 마음 깊이 새겨졌던 문장들을 짧은 에세이와 함께 정리해봅니다.
1. “인생은 일회용으로 주어진다.” (p.9)
인생은 리허설 없는 무대와 같아요.
실수도, 후회도 모두 진짜니까 더 소중하고 더 아프죠.
오늘의 선택이 내일의 내가 되기에, 지금 이 순간을 진심으로 살아가고 싶어요.
2. “우리는 누구나 단 한 번의 삶을 살고 있고, 그 삶은 결코 연습이 아니다.” (p.15)
삶은 연습이 아닌 실전이에요.
그래서 더 두렵고, 더 아름다워요.
실수해도 괜찮아요. 그게 진짜 삶이니까요.
3. “삶의 어느 시점에서는 더 이상 질문하지 않는 용기가 필요합니다.” (p.32)
모든 걸 이해하려 애쓰기보다,
그저 받아들이고 나아가는 힘이 필요할 때가 있어요.
질문보다 행동이 나를 앞으로 이끌죠.
그 용기가 성숙을 만들어줘요.
4. “불안하다는 건 살아 있다는 증거예요.” (p.45)
불안은 삶의 일부예요.
우리가 아직 꿈꾸고 있다는 뜻이죠.
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요.
불안 속에서도 우리는 여전히 살아 있잖아요.
5. “우리는 모두 자기가 쓴 이야기 속을 살아간다.” (p.58)
삶은 내가 쓰는 이야기예요.
누구도 대신 써줄 수 없죠.
실수도, 기쁨도, 모두 나의 문장이니까요.
오늘도 나는 나만의 삶을 써 내려갑니다.
---
6. “자기 인생에 책임을 지려는 순간, 우리는 비로소 어른이 됩니다.” (p.72)
어른이 된다는 건,
이유를 묻기보다 책임을 지는 용기를 택하는 것 같아요.
내 선택에 내가 서는 순간, 삶은 달라져요.
가끔은 무겁지만, 그 무게만큼 내가 단단해져요.
7. “지금 여기, 이 순간이야말로 우리가 가질 수 있는 유일한 삶입니다.” (p.88)
과거는 지나갔고, 미래는 아직 오지 않았어요.
지금 이 순간이야말로 진짜예요.
지금의 숨, 지금의 마음, 지금의 햇살을
놓치지 않고 느끼는 것이야말로 삶이라는 생각이 들어요.
'책과 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생각에 지친 뇌를 구하는 감정 사용법 (4) | 2025.06.08 |
---|---|
철학자와 달리기 (4) | 2025.05.30 |
철학자와 달리기 (2) | 2025.05.27 |
『창가의 토토, 그 후 이야기』를 읽고, 나답게 피어나는 삶에 대하여 (0) | 2025.05.14 |
[운의 알고리즘]을 통해 운명을 설계하였다 (0) | 2025.05.05 |